00. 암호화
- 통신과정에서 암호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.
- HTTPS, SSH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된다.
- 크게 대칭키 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법, 비대칭키 를 사용한 암호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.
01. 대칭키
대칭키는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,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동일한 키를 의미한다.
대칭키를 사용한 암호화, 복호화 과정
대칭키를 사용한 암호화 과정은 간단하자. 위 그림을 보자.
- 왼쪽의 사람(A)이 오른쪽의 사람(B)에게 평문을 암호화 하여 전달하고자한다.
- A는 임의의 대칭키를 만들어서 평문을 암호화한다.
- 이때 암호화에 사용된 대칭키를 사용하여, 암호문을 복호화 할 수 있다.
- A는 B에게 대칭키를 전달한다.
- A는 B에게 암호화된 문장을 전달한다.
- B는 A에게 받은 대칭키를 사용하여 전달받은 암호문을 복호화한다.
대칭키의 장단점
- 비대칭키는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.
- 하지만 상대방에게 키를 전송하는 과정에서, 외부에 키가 탈취될 수 있는 키 분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02. 비대칭키
비대칭키 는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와,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서로 다른 키를 의미한다.
- 이를 위해, 일반적으로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,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 두가지 키가 쌍으로 존재한다.
- 이 두가지 키는 키페어 라고도 불린다.
- 이 키페어는 상호간에 암호화, 복호화가 가능하다.
- 키 A를 사용해 암호화한 암호문은 키 B를 통해 복호화할 수 있다.
- 동시에, 키 B를 통해 암호화한 암호문도 키 A를 통해 복호화 할 수 있다.
비대칭키를 사용한 암호화, 복호화 과정
- A는 B에게 평문을 암호화하여 전달하고자 한다.
- B는 공개키, 비공개키 로 이루어진 키페어를 가지고 있다.
- 이때, 공개키는 외부에 공개하여 모두가 알고있다.
- 비공개키는 B본인만 가지고 있는다.
- A는 B의 공개키를 사용하여, 평문을 암호화한다.
- A는 B에게 암호문을 전달한다.
- B는 자신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암호문을 복호화한다.
비대칭키의 장단점
- 비대칭키는 대칭키에 비해 키를 생성하는 과정이 좀 더 복잡하다.
- 개인키는 외부에 전달되지 않으므로, 키가 탈취될 우려가 없다.
'Back End > 서버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개념 (3) | 2024.10.10 |
---|---|
[CI/CD] CI/CD 개념과 GitHub Actions 기초(1) (5) | 2024.10.03 |
SSH의 개념과 통신 과정 (0) | 2024.09.21 |
컨테이너(Container)와 도커(Docker)의 개념 (1) | 2024.09.20 |